우리말에는 자주 쓰이는 관용 표현들이 많습니다. 그중에서 “짚고 넘어가다”와 “집고 넘어가다”라는 표현은 비슷하게 들리지만, 실제로는 하나만이 올바른 표현입니다. 오늘은 짚고 넘어가다와 집고 넘어가다의 차이를 알아보고, 올바르게 사용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겠습니다.
짚고 넘어가다의 뜻과 사용
“짚고 넘어가다”는 문제를 확인하거나 논의하며 지나가는 것을 뜻하는 표현입니다. “짚다”는 원래 손이나 막대기 등을 이용해 몸을 지탱하거나 바닥을 디디는 행위를 의미하지만, 여기서는 중요한 문제를 확인하거나 짚어보는 행위를 비유적으로 표현한 것입니다.
짚고 넘어가다의 예시
- 이 문제는 분명히 짚고 넘어가야 한다.
- 오해가 없도록 짚고 넘어가자.
- 회의 중에 중요한 사항을 짚고 넘어갔다.
이처럼 “짚고 넘어가다”는 중요한 문제를 놓치지 않고 확인하거나 정리하는 상황에서 사용되는 표현입니다.
집고 넘어가다의 유래와 잘못된 사용
“집고 넘어가다”는 잘못된 표현입니다. 이는 “짚고 넘어가다”를 발음상 혼동하여 잘못 표기한 경우로, 표준어로 인정되지 않습니다. “집다”라는 단어는 물건을 집거나 들다는 의미로, 여기서는 문맥적으로 맞지 않습니다.
잘못된 표현의 예
이 문제를 집고 넘어가자.– 틀린 표현입니다.회의 중에 중요한 점을 집고 넘어갔다.– 잘못된 표현입니다.
“집고 넘어가다”는 표준어가 아니므로, 공식적인 자리나 문서에서 사용하지 않아야 합니다.
짚고 넘어가다와 집고 넘어가다의 차이
“짚고 넘어가다”와 “집고 넘어가다”의 차이는 표준어와 비표준어의 차이입니다. 아래 표를 통해 차이를 정리해 보겠습니다.
구분 | 짚고 넘어가다 | 집고 넘어가다 |
---|---|---|
표준어 여부 | 표준어 | 비표준어 |
의미 | 문제를 확인하거나 논의하며 지나감 | 문맥적으로 맞지 않음 |
사용 가능 여부 | 공식/비공식 모두 사용 가능 | 사용하지 않음 |
“짚고 넘어가다”는 표준어로서 정확한 뜻과 문맥을 가지고 있지만, “집고 넘어가다”는 표준어가 아니므로 사용하지 않아야 합니다.
“짚고 넘어가다”를 올바르게 사용하기 위한 팁
“짚고 넘어가다”를 정확히 사용하기 위해 다음의 팁을 기억하세요.
- 표준어와 비표준어 구분하기: “짚고 넘어가다”와 “집고 넘어가다”의 차이를 이해하고, 표준어를 사용하는 습관을 가지세요.
- 발음에 주의하기: 비슷하게 들리더라도, 표기와 문맥에 맞게 “짚다”를 사용하세요.
- 맞춤법 검사기 활용하기: 글을 작성할 때 맞춤법 검사기를 활용하여 올바른 표현을 확인하세요.
실생활에서의 사용 예시
올바른 표현: 짚고 넘어가다
- 이 문제는 꼭 짚고 넘어가야 한다.
- 회의 중 중요한 사항을 짚고 넘어갔다.
- 이슈를 짚고 넘어가는 것이 필요하다.
잘못된 표현: 집고 넘어가다
중요한 사항을 집고 넘어가자.그는 이 문제를 집고 넘어갔다.
위 예시를 통해 볼 수 있듯이, “짚고 넘어가다”를 올바르게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결론
이제 “짚고 넘어가다”와 “집고 넘어가다” 중 어떤 표현이 맞는지 이해하셨나요? 간단히 정리하자면:
- 짚고 넘어가다: 표준어로, 문제를 확인하거나 논의하며 지나가는 것을 의미.
- 집고 넘어가다: 잘못된 표현으로, 사용하지 않음.
“짚고 넘어가다”는 문맥과 의미를 명확히 전달할 수 있는 올바른 표현입니다. 이 글을 통해 표준어를 바르게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함께보면 좋은 글